Home » [금융상식] 은행 단리 방식 복리 방식 차이점과 금융 상품 특징

[금융상식] 은행 단리 방식 복리 방식 차이점과 금융 상품 특징

단리 방식과 복리 방식

대출이나 예금에 쓸 때 생기는 이자 이자는 왜 생기는 걸까요?
시간이 지날수록 물가는 상승하고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돈을 빌려 쓴 기간 동안에 대한 대가로 지급하는 것이 이자입니다.
우리가 금융기관에 예금을 했을 때 원금에 이자가 발생하는 이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은행이 우리가 예금했을 때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죠 이때 빌려 쓴 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금리 또는 이자율이라고 합니다.
물건을 시장에서 사고 팔 때 가격이 존재하듯 돈의 가격인 금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금융 상품을 선택할 때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는 것 중 하나가 금리인데요.
같은 금리라도 이자 지급에 따라 단리 방식과 복리 방식으로 나눕니다.
단리 방식이란 단순히 원금의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며
복리 방식은 이자에 대한 이자도 함께 감안하여 계산하는 방식입니다.즉 복리 방식이란 원금에 대한 이자를 모아 원금에 더한 합계액을 새로운 원금으로 계산하는 이자 계산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연 5퍼센트 조건으로 1년 후에 이자는 5만 원입니다.
다시 일 년이 지났을 때 달리 방식은 일 년 전과 같은 오만 원의 이자가 발생하지만 복리 방식은.
원금과 1년 전의 이자를 합한 15만 원에 대한 이자 5만 2천 5백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같은 금리라도 기간이 길어질수록 단리 방식보다 복리 방식의 높은 이자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들을 담당하는 금융기관은 무엇이 있을까요?
흔히 금융기관이라고 말했을 때 은행만 생각할 수 있지만 증권회사나 보험회사도 포함됩니다.
한마디로 금융기관은 돈이 필요한 사람과 돈을 빌려줄 수 있는 사람을 연결해 주는 기관을 말합니다 금융기관은 금융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분류됩니다.
은행은 예금 대출 각종 대금 결제 및 송금 환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보험회사는 연금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증권 및 투자 회사는 브로커 인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나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금융 상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자산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투자의 대상이 되는 여러 종류의 금융 상품 특징을 이해해야 합니다.
금융상품에는 예금과 적금 대출 펀드 보험 등이 있습니다.
.
예금자 보호 제도는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일정 범위 안에서 보장해주는 제도입니다 여기서 알아둬야 할 점은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의 예금은 예금자 보호법의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금융상품 가입 전에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에서 예금자 보호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한국은행